머리카락 분석 "죽기 몇 달 전 B형 간염 감염"
1999년 발표 ‘납중독설’ 오류 밝혀져
"당시 머리카락 뭉치는 다른 여성 것"

Ludwig van Beethoven. : Gettyimages
Ludwig van Beethoven. : Gettyimages

루드비히 판 베토벤(1770~1827)의 사망 원인은 납중독이 아닌 유전적 요인과 음주, B형간염에 따른 간경변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영국과 독일 과학자 등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22일(현지시간)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분석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증거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공개했다.  

논문 제1 저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박사과정의 트리스탄 베그 연구원이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베토벤의 머리카락이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은 당시 유럽의 관습 덕분이다. 당시 유럽에선 죽은 사람을 기리기 위해 머리카락을 잘라 간직하는 문화가 있었다. 

연구팀은 먼저 이렇게 전해진 머리카락이 진짜 베토벤의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현대 베토벤 가문 사람들의 유전 정보를 토대로 한 분석에서 베토벤의 머리카락으로 확인되는 다섯 가닥을 추려냈다. 

연구팀이 베토벤의 머리카락만을 추가 분석한 결과, 간 질환 위험 유전 인자가 있었고 지속적인 음주와 B형 간염으로 인해 간 질환이 악화해 숨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이 바이러스가 간 질환을 유발했을 것”이라며 “베토벤이 술을 많이 마셨다는 점 등을 종합해보면 바이러스 감염이 베토벤의 죽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베토벤이 마지막 10년간 사용한 대화 기록집을 보면 이 기간 술을 매우 규칙적으로 마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이렇게 오래 술을 과하게 마셨다면 간장 질환 위험 유전 요인의 상호 작용과 B형 간염 등으로 간 경변에 걸렸을 수 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고 추정했다. 

 

독일 연구팀이 베토벤이 죽기 몇 달 전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분석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증거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2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 NBC News 캡처
독일 연구팀은 22일(현지시간) 베토벤이 죽기 몇 달 전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분석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증거를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 : NBC News 캡처

 

1999년 발표됐던 납중독에 의한 사망설은 완전한 오류인 것으로 판명됐다. 

당시 미국 아르곤연구소는 머리카락을 분석해 베토벤이 정상인의 100배에 해당하는 납에 중독됐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청력상실도 납중독에 의한 것으로 주치의의 잘못된 치료 등이 원인으로 제시됐다. 그는 20대 중후반부터 진행성 난청을 앓다가 1818년 청력을 완전히 잃었고, 만성 위장병과 간질환 등을 앓다 1827년 사망했다.

베토벤은 강에서 민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을 즐겼는데 당시 산업혁명이 시작되며 중금속에 오염된 물고기가 많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포도주를 납 병에 넣어두고 마셨던 당시 문화 때문이라는 의견과 간 질환 치료 때문에 의사 처방을 받았는데 이 처방에 문제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 등이 제기됐다.

납중독설은 작곡가이자 베토벤 숭배자였던 페르디난트 힐러가 보관하고 있던 머리카락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 것이다. 베토벤 사후 당시 15세이던 힐러가 베토벤 시신에서 직접 잘랐다고 알려졌던 머리카락이다.  

납중독설의 근거가 됐던 ‘힐러 타래’는 베토벤이 아닌 유대계 여성의 것으로 드러났다. 베그 교수는 “힐러 타래가 베토벤이 아니라 여성 머리카락이라는 게 밝혀졌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 이전 분석 결과들은 어느 것도 베토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며 기존 가설을 뒤집었다. 

다만 베토벤의 위장질환과 청력 상실과 관련해서는 원인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베토벤의 모발에서 청력 상실을 일으킬 만한 유전적 원인은 드러나지 않았다며 다양한 유전적 기여도를 가진 질병 등 몇 가지 잠재적 원인이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제주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