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계사년(癸巳年) 한 해가 또 저물어간다. 예외 없이 올 연말도 지난 한 해를 무탈하게 보냈다는 자위의 몸짓인 양 ‘권커니 잣거니’ 흥청거리는 세모의 밤 풍경과 흔히 마주친다.

연말이 되면 잇따르는 송년회 모임에 기꺼운 마음으로 참가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게다. 밀린 일을 마무리하고 새해 계획 짜느라 바쁜 터에 연일 송년회까지 치르자면 피로가 걷잡을 수 없이 쌓이는 탓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피하기도 어렵다. 어떤 모임이든 나름대로 존재이유가 있어서다. 한 해를 보내는 마당에 '오붓하게 한번 모이자'는 제안을 어떻게 뿌리치겠는가.

세계 어느 나라든 송년모임이 있지만 우리는 유별나다. 간단한 저녁식사 후 공연이나 영화보기, 불우이웃 돕기 같은 색다른 송년회가 없는 건 아니지만 여전히 먹고 마시기가 대세다. 술에 절어 인사불성이 되는 사람이 여럿 나올 때까지 끝장을 봐야 '제대로 했다'고 여기는 것이다. 문제는 대다수가 이런 식의 송년회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이다.

최근 한 취업포털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35.6%가 가장 선호하는 송년회로 술이 없는 조촐한 모임이라고 답했다. 이어 문화공연 관람 19.3%,간단한 점심식사 14.3%였다. 반면 가장 꺼리는 송년회로 '먹고 죽자형'을 꼽은 응답자가 42.3%로 제일 많았다. 또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하거나 상사.선배가 끼는 송년회도 기피대상이었다.

요컨대 의무 참석 송년회에서 직장 상사나 선배와 함께 과음하는 게 최악이란 얘기다. 하긴 회사 송년회에 갔다가 사고를 당했다면 업무상 재해라는 법원 판결까지 나왔다. 부서장이 주최하고, 직원 다수가 참석했으며, 회사 경비를 쓴 송년회는 업무의 연장이란 의미다.

연말에 동료나 지인들끼리 만나는 것 자체를 탓할 순 없다. 하지만 내키지도 않는데 통과의례처럼 참가해 분위기에 휩쓸려 망가질 때까지 먹고 마시는 관행에선 벗어날 때가 됐다. 과음은 평화와 질서의 적이요,부인의 공포요,자식 얼굴의 구름이란 말도 있지 않은가.

첫 여성대통령의 탄생과 복지 및 노동정책의 제자리걸음, 부동산시장 냉각과 전셋값 폭등, 원전비리와 전력난, 국정원과 군부의 대선개입 의혹과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에 따른 정쟁에 더해, 북한의 실세였던 장성택의 숙청이 몰고온 도발의 징후 등 아찔하고 어두운 일이 유난히 많았던 올해를 이제 차분하게 떠나보낼 일이다.

제주관광객 1000만 시대를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나무재선충병 확산과 우근민 제주지사의 실정 등 안팎으로 부침이 많았던 우리 제주도 사회도 이제 지난 한 해의 실착이나 과오를 덮어주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화해의 악수와 용서로 보듬을 때다. 그 속에서 제주인 모두가 화합을 단결을 다지는 세밑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주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